*공매도 Short sale
증권을 소유하지 않은 자가 증권을 매도하는 것으로 아래 두가지 종류가 있다.
1) 무차입공매도 naked short : 소유하지 않은 증권을 매도
2) 차입공매도 covered short : 증권을 차입하여 매도
자본시장법은 공매도를 금지하는데 예외적으로 차입공매도는 허용한다.
공매도의 순기능으로는
- 주가 하락기에도 이익창출/손실축소가 가능한 위험관리 수단이 되고
- 시장 유동성 확대효과가 있으며
- 헷지펀드 하는 새끼들에게 다양한 투자전략을 제공한다. long-short, market-neutral 등
역기능으로는
- 금융시장이 불안정할 때 변동성을 증폭시키고
- 불공정거래 수단으로 투기세력들이 악용한다.
- 우리나라의 차입공매도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1) 대차거래
개인은 안되고 기관 및 외국인만 되는 차입공매도로 기관투자자가 예탁결제원같은 중개기관을 통해 다른 기관투자자에게 주식을 개인적으로 대여하거나 차입해서 공매도를 치는것으로 상환에 기한이 없고 담보비율도 낮은 장점이 있다.
2) 신용대주거래
개인도 되는 공매도로 그냥 개인투자자가 증권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돈 빌리듯이 신용으로 빌려서 공매도 치는것이다. 그런데 단점이 많아서 개인들은 공평하게 대차거래 없애라고 시위중이다.
- 공매도의 수탁
증권회사는 공매도주문을 수탁할 때, 공매도 여부를 확인하고 공매도일 경우 해당 증권의 차입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래서 공매도 규정을 위반하는 주문이다? 그럼 거부해야 한다.
- 공매도의 호가
공매도는 직전가격이하의 가격으로 호가할 수 없다. Uptick Rule
그러니께 직전가격보다 같거나 낮은 가격으로 공매도를 칠수는 없고 한틱이라도 높은 가격으로만 공매도를 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직전가격이 그 직전가격보다 높은 경우)는 예외적으로 직전가격으로 호가를 허용한다.
- 공매도 잔고 보고 및 공시제도
공매도 거래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투기적 공매도를 억제하기 위한 제도로 일정비율 이상의 공매도잔고(-의 순보유잔고)를 보유한 자는 인적사항 등을 금융당국에 보고하고 시장에 공시하는 제도다.
※ -의 순보유잔고는 [보유하고 있는 주식 수 - 갚아야 하는 주식 수]로 순수한 빚 주식을 뜻하고 이를 공매도잔고라고 한다.
*청산과 결제
주식시장에서 매매거래가 체결된 이후 투자자는 회원과, 회원은 거래소와 결제를 함으로써 매매거래가 종결된다.
(1) 청산 Clearing
거래소가 회원간에 성립된 매매거래에 개입해서 모든 매도자에 대해서는 매수자, 모든 매수자에 대해서는 매도자가 됨으로써 중앙거래당사자 Central Counterparty CCP의 지위에서 매도자와 매수자간의 채권,채무를 차감하여 확정하고 결제기관에 지시하여 결제가 이행되기까지 결제를 보증하는 일련의 절차를 뜻한다.
그런데 왜 중간에 CCP가 껴처 깝치냐?
- 결제건수 축소로 인한 거래상대방리스크 감소
CCP를 거치지 않고 서로서로 직접매매를 할 경우 총 50건의 거래가 발생하고 50건의 거래에는 상대방이 망하거나 사기의 리스크들이 있다. 하지만 CCP로 집중거래 할 경우 거래횟수가 최대 15건으로 축소되어 전체적인 리스크가 줄어든다.
- 차감에 의한 결제규모의 축소로 결제리스크가 감소한다.
그러니께 6주고 7받고 이래야 하는 상황에서 총 13을 주고받을게 복잡한데 CCP가 중간에서 중재하면 딱 마이너스 플러스 차감해서 1만 받는데 갖는 위험만 갖는다.
(2) 결제 Settlement
청산과정을 통해 CCP와 회원간의 증권인도와 대금지급을 이행함으로써 매매거래를 종결시키는 것으로 그냥 돈 주고받고 끝내는데 CCP를 거친다는 소리다.
그 순서로는
- 거래소가 매매당사자 사이의 매매조건에 대해 확인하고
- 증권은 종목별,회원별로 매수수량 매도수량을 차감하여 수수할 수량을 확정
- 대금은 회원별로 매도대금과 매수대금을 차감하여 수수할 대금을 확정
- 거래소는 예탁결제원(증권을 들고있는 기관)에게 결제회원의 계좌로 증권을 인도 and 대금지급을 지시한다.
- 증권의 인도는 계좌간 대체 방식으로(그냥 예탁결제원에서 명부 이름만 와리가리) 이루어지고, 대금의 지급은 계좌간 이체방식으로 결제은행(한국은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주식투자 >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공시제도 (2) 모집, 매출, 간주모집 / 청약의 권유 / 전매기준, 전매제한조치 (0) | 2020.10.19 |
---|---|
기업공시제도 (1) 공시 / 증권신고서, 정기공시, 수시공시 / 전자공시시스템 DART (0) | 2020.10.18 |
주식공부 (8) 시장경보제도 / 시장의 유동성관리제도, 시장조성자 (0) | 2020.10.16 |
주식공부 (7) 시장관리제도 / 써킷브레이커, 사이드카 / VI / 매매거래정지 (0) | 2020.10.15 |
주식공부 (6) 특수한 매매거래 / 대량매매, 바스켓매매 / 경쟁대량매매 / 시간외매매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