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재표의 기본


기업은 자금조달 > 자산의구성 > 영업활동을 통한 이익창출 (영업의 결과) >>> 자금조달 > 자산의구성 > 이익창출 >>> 로 무한반복한다.

이 모든건 재무재표에 기록되게되는데 바로 자금조달은 재무상태표의 [대변]이 되고 자산의 구성은 재무상태표의 [차변]이 되고 이익창출은 [손익계산서]에 나타나게 된다. 현금흐름표는 약간 쩌리다.




*자본조달


자본조달은 1. 자기자본과 2. 타인자본 으로 나뉘는데 1.자기자본으로는 회사가 영업을 통해 얻은 [이익잉여금]이 있고 주주가 출연한 [자본금+자본잉여금]이 있겠다. 2.타인자본은 =부채다.


여기서 포인트는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의 적절한 밸런스가 맞춰져 있는가를 잘 살펴보아야 하고, 자기자본항목에서는 주주출연보다는 이익잉여금을 통한 자기자본 조달이 더 좋다는것이 포인트다. 




*자기자본


1. 자본금

2. 자본잉여금

3. 이익잉여금 : 배당하고 남은 돈을 유보해놓은것

4. 기타자본 : 자본차감영역으로 (-)에 해당

- 주식할인발행차금

- 배당건설이자 (이익없었는데 배당 줬던거)

- 자사주취득

- 매도가능금융자산 (여유자금으로 금융자산 투자했는데 거기서 평가손익 or 평가손실)


- 제 3자 배정증자를 하는 이유 : 1. 대주주의 지분율이 낮거나 2. 증자에 참여할 수 있는 자금력이 없거나 3. 회사 신용이 후달릴경우


- 자기자본을 통한 조달비용이 타인자본 조달비용보다 비경제적. 고로, 사업전망이 확실할 때는 효율적으로 부채를 잘 이용해도 무방하다.


- 우선주 : 대주주가 경영권 안정을 꾀하면서 자본조달 목적


- 워런버핏은 ROE를 좋아하는데 버핏은 ROE 증가시킬 자신감 없으면 배당해서 자기자본 파이를 차라리 줄이라고 주문했다.

괜히 혼자 재투자해서 깝치다가 주주손실 보게 하지 마라


'주식투자 > 재무제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할  (0) 2019.10.23
재고자산  (0) 2019.10.23
전환사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0) 2019.10.11
유동비율 ,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0) 2019.10.11
운전자본  (0) 2019.10.1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