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자산회전율
ex) 자산 1000억이 있을때 매출 1000억을 올리면 총자산회전율은 1
자산 500억으로 매출 1000억을 올리면 총자산회전율은 2
총자산회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효율적!
*ROA
순이익/자산총계 = (매출액/자산총계) X (순이익/매출액) = 총자산회전율 X 매출액이익률
총자산회전율, 매출액이익률 둘다 효율성을 따지는 지표입니다.
고로, ROA가 높을수록 효율적인 고수익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쬬?
주주들 입장에서는 본인 돈 굴려 얼마 뽑아내는지 ROE가 중요하지만
빚까지 고려해야할 경영자는 모든 자산을 굴려 얼마 뽑아내는지 알수있는 지표인 ROA가 중요합니다.
*BPS:Book value Per Share 주당장부가치
자기자본/발행주식수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수 자기자본에서 1주당 본인 몫
여기서 자기자본은 자산에 따라 움직입니다. 왜냐하면 부채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고로, 자산이 감가상각되거나 부동산가치가 올라가는 등 자산이 제대로 반영이 안되면 BPS에도 반영이 안되겠죠?
고로, 숨은 BPS를 찾아야 할것입니다.
장부가치는 '장부가치'일뿐, 청산시에는 반토막정도 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야 합니다.
'주식투자 > 재무제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기업의 안정성 파악하기 : 비영업부채 (0) | 2020.04.02 |
---|---|
(1) 기업의 안정성 파악하기 : 비영업자산 (0) | 2020.04.01 |
미청구공사 , 유보율 (0) | 2019.10.23 |
투자 , 매도가능금융자산 (0) | 2019.10.23 |
기업분할 (0) | 2019.10.23 |